투자/가상화폐 (12)
호라이젠 노드 구축하는 방법
   3줄 요약
     
    Secure Node : 42 ZEN (수익률 : 6.97%)
    Super Node : 500 ZEN (수익률 :8.64%)
    월 호스팅 비용 각$2.5 / $10 (설치비 별도)



호라이젠 노드 구축에 앞서

스피어 지갑을 만들지 않았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자.

↘ 호라이젠 스피어 지갑 만드는 법

 

노드 구축을 위해 Super Node는 500 ZEN이 필요하며, Secure Node는 42 ZEN 필요하고

노드 보상은 매주 화요일에 지급되며 Super Node는 0.67 ZEN, Secure Node는 0.068 ZEN이다.

(2022년 10월 기준으로 Super Node 수익률은 6.97%, Secure Node 수익률은 8.64%)

 

호라이젠 구입 및 출금은 바이낸스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바이낸스의 가입은 옆의 링크에서 할 수 있고 [링크]

호라이젠은 USDT나 BTC로 구매할 수 있다. [ZEN/USDT]   [ZEN/BTC]

참고로 BTC시장은 물량이 잘 없어서 한번에 물량을 잡으려면 USDT 마켓에서 구매하는 것이 좋으며

출금수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노드 필요비용+0.01만큼을 더 구입해주도록 하자. (42.01 or 500.01)

 

또한 물량을 구입하면서 노드운영에 필요한 호스팅 사이트에 가입하자. [링크]

 

 

Allnode가입도 마쳤고, ZEN도 구매했다면

노드구축을 위해 스피어 지갑으로 젠을 옮겨보자.

 

코인을 옮기기 위해 우측 상단의 Wallet > Fiat and Spot을 누르고..

 

 

ZEN코인의 Withdraw를 누르고..

 

 

Send to에서 앞서 만들었던 지갑주소를 입력하고 구매한 코인을 전송해주자.

출금수수료가 0.002 ZEN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수에 맞춰서 구매를 하면

수수료를 제외한만큼 코인이 입금되므로 노드 필요비용+0.01개를 구입하도록 하자.

(바이낸스 최소 구매비용때문에 0.001개는 구입 불가)

 

 

출금 전 주소를 한번 더 확인해주고 출금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대기목록에 나타나게 되며..

 

 

약 1분정도 기다리면 스피어 지갑에 입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까지 진행했다면

이제 Allnode에서 노드 구축을 위한 결제 및 방법을 시작해보자.

 

Allnode에 로그인하여 카드모양의 청구를 눌러주면..

 

 

원하는 결제수단으로 서버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대

신용카드, paypal, 알트코인등으로도 결제가 가능하니 가능한 방식으로 결제를 해주자.

 

이때 1년치를 한번에 결제하면 할인을 해주지만

일단 1~3개월 정도 노드를 운영해본 후 장기결제를 권장한다.

 

 

서버비용을 결제 했으면

다시 계정 대시보드로 돌아가 코인 호스팅을 선택해주고..

 

 

운영할 노드를 선택해준 후..

 

 

스피어를 선택해주고 코인이 있는 지갑주소를 입력한 후 찾기를 누르면..

 

 

1개월 or 1년단위로 선택 후

하단의 프로모션 코드에 SETUPZEN을 입력 후 적용을 눌러주면 최초 설치비용이 무료로 바뀐다.

 

 

잠시 시간이 지나면 서버설치 및 작동을 시작하며..

 

 

상단의 Allnodes알림을 설정해두면 보상이 들어올때마다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여기까지 끝마치면 노드 구축은 끝이며

보상은 매주 화요일 지급이 되고, 주중에 구축했을 경우 일할계산되어 보상을 지급하지만

보상을 건너뛰었다면 그 다음번 보상에 합산하여 입금된다.

 

 

↘ 본 포스팅은 직접 시도한 방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법이 바뀌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omments,     Trackbacks
댓글 쓰기
호라이젠 스피어 지갑 만드는 법
   3줄 요약
     
     호라이젠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설치 후
     니모닉 코드는 철저히 백업할 것!


 

호라이젠 지갑을 만들기 위해서는

호라이젠 공식 홈페이지에서 스피어 지갑을 다운받아서 컴퓨터에 설치해주자.

(https://www.horizen.io/wallets/)

 

지갑을 다운로드 받은 후 실행시켜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고

새로 시작하는 사람은 계정이 없으니  Create an account를 눌러 계정생성을 시작하자.

 

 

지갑에 로그인할 아이디/패스워드를 설정 후 진행한다.

 

이때 비밀번호를 생성할 때 유의사항으로

8자리 이상으로 만들어야 하며, 소문자 1개, 대문자 1개, 특수문자 1개, 숫자 1개가 꼭 포함되어야 한다.

 

 

이후 초록색 버튼의 지갑생성에 동의를 눌러주면..

 

 

호라이젠 스피어 지갑으로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아래의 Add Wallet을 누른 후 Create New Wallet을 눌러 실제로 코인을 전송받을 지갑을 생성해보자.

 

 

나중에 실제로 복구에 사용될 Wallet Nickname과  패스워드(선택)를 지정해준다.

패스워드의 경우 코인을 전송할 때나 복구할 때 사용되기 때문에

번거롭겠지만 패스워드를 지정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후 초록색 버튼을 누르면..

 

 

24개의 니모닉 코드를 볼 수 있고

이 코드를 잘 보관해 두어야만 추후 지갑을 복구할 수 있으니 꼭 백업해두자.

종이에 써서 보관하라는 사람도 있는대, 분실하게 되면 영원히 코인을 찾을 방법이 없다.

 

간혹 구글포토 등 클라우드에 캡쳐파일을 올려두었다가 계정이 해킹당하면서

코인을 탈취하는 사례도 있으니 각자 안전한 방법으로 보관하자.

 

 

니모닉 코드를 백업했다면

다음단계에서 실제로 백업했는지를 검증하는 화면이 나오게 되고

단어를 클릭해 24개의 단어를 순서대로 정렬해준다.

 

 

위 과정을 완료하면 지갑이 생성되고..

 

 

지갑을 눌러보면 지갑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들어진 주소로 코인전송을 할 수 있게되었다.

 

 

↘ 본 포스팅은 직접 시도한 방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법이 바뀌거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omments,     Trackbacks
댓글 쓰기
모네기코인 마스터 노드 구축 방법 2편

   3줄 요약

     

     천천히

     따라

     하자



모네기 마스터 노드 구축 방법 1편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모네기코인 마스터 노드 구축 방법 1편





거래소에서 코인이 입금된 것을이 확인되면, 상단의 Send 메뉴를 눌러 코인을 전송한다.


Pay to에 노드 구축용으로 만든 주소를 입력하고

Amount에 1,000을 입력하여 정확히 1,000개를 보내도록 하자.





1,000개가 아니면 노드를 위한 인식을 하지 못하니 나누어서 전송하지 말자.





전송 후 15컨펌이 진행될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상단의 메뉴 중 Tools -> Debug Console를 호출해

출처: http://www.givetoyou.net/category/투자/가상화폐 [:: 모든 지식을 당신에게,]

상단의 메뉴 중 Tools -> Debug Console를 호출해

하단의 빈칸에 masternode genkey를 입력한다.


그러면 또 하나의 가상화폐 주소같은 키값을 볼 수 있는데,

앞으로 마스터노드 설정에 필요한 코드이니 잘 보관해 두자.


마스터 노드를 2개 이상 구축시에는 이 과정을 똑같이 수행해야 하는데,

즉, 노드 1개에 키값 1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노드를 추가할 때마다 실행해주어야 한다.

다만, 15컨펌 진행중에 여러번 명령어를 입력할 경우, 

마지막에 입력된 키값만 인정되기 때문에, 여러개를 구축할 시 유의하자.





이제 VPS구축을 위해 벌쳐에 로그인을 해서 서버를 선택한다.


국가는 싱가포르나 일본을 선택하면 되고, Ubintu 14.04 x64버전의 OS를 선택하고

가격은 1달에 $5짜리를 선택하자.


1달에 $2.5짜리로 선택하도 무방하다고는 하나,

마스터 노드 권장사항인 1GB의 램을 사용하는 서버를 선택하자.





서버의 이름을 지정하고 VPS서비스를 시행하면,,,





서버가 생성되고, 리눅스로 접속할 수 있는 계정과 비밀번호,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휴 PuTT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링크를 통해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자. [링크]





PuTTY를 실행시켜 Host Name (or IP address)에 리눅스 서버의 IP를 입력하고 Open을 누르자.





login as에 root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는 복사 후, 마우스 우클릭을 1번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PuTTY의 붙여넣기는 Ctrl+V가 아닌 마우스 우클릭이다.




이후 로그인을 하게 되면 아래의 명령어를 복사한 후, 마우스 우클릭을 눌러 붙여넣기 해준다.

(블로그의 글을 복사하면 출처가 따라 붙기 때문에, 메모장에 복사해서 출처를 지우고 사용하자)


apt-get update


apt-get upgrade


apt-get -y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libzmq3-dev pwgen

apt-get -y install git libboost-system-dev libboost-filesystem-dev libboost-chrono-dev libboost-program-options-dev libboost-test-dev libboost-thread-dev libboost-all-dev unzip libminiupnpc-dev python-virtualenv

apt-get -y install build-essential libtool autotools-dev automake pkg-config libssl-dev libevent-dev bsdmainutils

add-apt-repository ppa:bitcoin/bitcoin

apt-get update


apt-get -y install libdb4.8-dev libdb4.8++-dev

설치 중간에 Y/N의 선택을 물어보는 문장에서 멈출경우 Y를 누르고

ENTER키를 누르라고 물어보면 엔터키를 한번 눌러서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를 마치고 난 후 노드를 구축할 계정을 만들어준다.


adduser [사용할 ID]을 입력한 후 비밀번호호를 설정한다.

이후 부가정보는 엔터키를 눌러 건너뛴 후 Y를 눌러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exit명령어를 입력하여 PuTTY를 종료한다.





잠시 후 PuTTY를 실행하여 서버에 접속 후

이번에는 root계정이 아닌, 이전에 생성한 계정의 ID와 PASSWORD로 접속한다.





모네기 코인의 리눅스 지갑을 설치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자.


wget https://github.com/monacocoin-net/monoeci-core/releases/download/0.12.2/monoeciCore-0.12.2-linux64-cli.Ubuntu14.04.tar.gz


tar xvf monoeciCore-0.12.2-linux64-cli.Ubuntu14.04.tar.gz


chmod +x monoecid monoeci-tx monoeci-cli


./monoecid


마지막 명령어를 실행해서 멈추게 되면 성공적으로 설치가 된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PuTTY를 눌러 종료 후, 잠시 후 다시 서버에 로그인을 한다.





root 계정이 아닌 생성한 계정으로 로그인 후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자


./monoeci-cli stop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monoeci Core server stopping 이라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후 마스터 노드 설정파일을 수정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nano .monoeciCore/monoeci.conf


화면이 전환되면서 처음보는 화면이 나오는데

rpcuser, rpcpassword, masternodeprivkey, externalip 4가지 항목을 수정한 후 붙여넣기를 한다.


rpcuser=root계정이 아닌 생성한 계정의 ID
rpcpassword=생성한 계정의 비밀번호
rpcallowip=127.0.0.1
server=1
listen=1
daemon=1
maxconnections=24
masternode=1
masternodeprivkey=masternode genkey 명령어를 입력해 만들어진 키값
externalip=VPS 서버 IP


이때 붙여넣기 과정에서 공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마지막에 마스터 노드가 활성화가 되지 않으니 주의하자.

이후 Ctrl+X, y, 엔터를 차례대로 누르면 파일을 저장 후 화면이 전환된다.





이후 다시 아래의 명령어를 복사한 후 붙여넣기 한다.


./monoecid


./monoeci-cli mnsync status


마지막 명령어를 입력하면 첫번째 줄에 AssetID를 확인할 수 있는데

시간을 두고 ./monoeci-cli mnsync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숫자가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략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2~20분의 시간이 소요되며 AssetID가 999가 될때까지 기다리자

이때 명령어를 너무 자주 입력하면 해킹으로 간주되어 서버에서 튕길 수 있으니 천천히 기다리자.





이후 센티넬을 설치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복사해 붙여넣자.


git clone https://github.com/monacocoin-net/sentinel.git && cd sentinel


virtualenv ./venv


./venv/bin/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venv/bin/py.test ./test


네번째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진처럼 초록색의 선이 표시된다.







이후 아래의 명령어를 붙여넣고 편집기를 실행한다.


nano sentinel.conf


방향키를 이용해 3번째 줄앞의 #은 지워주고

home/YOUR HOME DIRECTORY/moneci..에서

YOUR HOME DIRECTORY를 생성한 계정의 ID로 변경해준다.


수정 후 Ctrl+X, y, 엔터를 차례대로 누르면 파일을 저장 후 화면이 전환된다.





다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 편집모드로 들어간다.


crontab -e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바로 편집기에 들어갈 때도 있고,

아닌경우 편집기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2를 누르고 엔터를 누르자.





방향키를 아래로 내려 문장의 끝까지 이동한 후 아래의 명령어 중

생성한 계정 ID 항목을 바꿔주고 복사 후 붙여넣자.


* * * * * cd /home/생성한 계정 ID/sentinel && ./venv/bin/python bin/sentinel.py >/dev/null 2>&1


수정 후 Ctrl+X, y, 엔터를 차례대로 누르면 파일을 저장 후 화면이 전환되는데

이 상태로 놔둔 후 윈도우 지갑을 실행한다.





윈도우 지갑 상단의 Transection을 눌러

Payment to yourself (지갑에서 노드로 이동한 기록)의 항목에 마우스 우클릭 후

Show transection detail을 누르면 하단의 transection ID 항목 복사해둔다.

(transection ID끝의 -000부분은 복사하지 않아도 된다)





상단의 메뉴 중 Tools -> Debug Console를 호출해

하단의 빈칸에 masternode outputs를 입력한다.


상단에 확인한 transection ID항목과 비교한 후, 그 뒤의 숫자도 복사해두자.





모네기 윈도우 지갑이 설치된 곳에 masternode.conf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다음과 같이 수정해준다.


[자유로운 ID] [VPS IP:24157] [masternode genkey 명령어를 입력해 만들어진 키값] [transection ID] [0 혹은 1]


한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값 사이에 공백을 포함한다.

노드를 2개 이상 구축 시 [자유로운 ID]가 중복될 경우 요류가 생기니 참고하자.


이후 윈도우 지갑을 종료 후, 다시 실행하고 잠시 기다려서 동기화를 시작하자.





윈도우 지갑을 재시작 후 Masternodes 메뉴로 이동해보면

[자유로운 ID]으로 마스터 노드 목록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Start alias를 눌러주자.



Start alias를 누르면 MISSING에서 Pre_Enabled로 변경되고

5~30분이 지나면 Enabled로 변경되어 노드가 활성화 된다.






Enabled로 활성화 되는 것을 기다지리 말고 리눅스로 돌아와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cd ..


./monoeci-cli masternode status


마지막 줄에 Status : Masternodes successfully started라고 출력되면 노드가 활성화 된 것이다.

최초 보상은 4~6일 사이에 이루어지며, 이후 2~3일 사이에 지속적으로 4.5개씩 지급된다.



3편에서 계속,,,




* 본 포스팅은 직접 확인한 방법으로, 주관적인 입장을 표현 했습니다.






  Comments,     Trackbacks
댓글 쓰기
모네기 코인 마스터 노드 구축 방법 1편

   3줄 요약

     

     거래소에서 

     1001개의 코인을 구입 후

     지갑으로 이동


마스터 노드를 구축해 지분증명으로 코인을 지급받을 수 있는 코인 중

모네기 코인의 마스터 노드 구축 방법에 대해 알아 본다.


해당 구축 방법은 

네이버 카페 마스터 노드로 건물주 되기의 메리호 님이 쓴 글을 참고 했다. [링크]

이 자리를 빌어 노드 구축을 위해 수고해주신 메리호님께 감사드린다.


모네기 코인(XMCC) 에 대해 투자를 하기 전 

백서와 로드맵을 충분히 읽어보고 정보를 습득하기를 바란다.

  - 공식 사이트 [링크]

  - 뮤지엄 [링크]

  - Cryptomarketcap [링크]

  - Masternodes.Online [링크]


포스팅에 앞서,

코인 구입 및 VPS 서버 결제와 마스터 노드 구축 방법을 각각 나누어 포스팅 한다.


코인 구입의 경우 시장가로 바로 구입을 해 수량을 맞출 수 있겠지만

그러지 않을 경우 시간이 어느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코인 매집 전 선행해야하는 과정이라 생각하자.


마스터 노드 1개당 필요한 코인은 1,000개이며,

거래소 출금 수수료 등을 포함해 1,001개를 구입하면 된다.





모네기 코인은 3개의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데

CryptoBridge의 경우 가격이 비싸서 추천하지 않는다.


CoinExchange의 경우 물량이 없지만 가격이 싼 장점이 있다.

거래가 되지 않아서 가격 반영을 못하는 것 같은데,

하지만 매수호가에 꾸준히 주문을 내면 싼 가격에 코인을 구입할 수 있다.

(참고로 필자의 경우 4일 정도 소요되었다.)


Cryptopia의 경우 유동성과 물량이 풍부하지만 가격이 비싸다.


향후 가격 상승을 생각한다면, 즉시 코인을 매수 해 마스터 노드를 구축할 수 있겠지만,

예측 이하로 코인가격 및 효율이 좋지 않을 경우 판매할 경우도 생각해야 한다.

따라서 CoinExchange에서 꾸준히 주문을 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각 거래소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가입하자.

CoinExchange [링크], Cryptopia [링크]


마스터 노드 1개당 1,000개의 코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종 수수료를 포함 1,001개의 코인을 구입하면 된다.





코인을 구입하는 동안 마스터 노드를 구축할 가상서버(VPS)를 준비하자.

가상서버를 임대하여 마스터 노드를 구축 하면, 24시간 노드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링크를 통해 회원가입 후 크레딧을 결제한다. [링크]

서버는 1달에 $5짜리의 서버를 사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상황을 고려하여 크레딧을 결제해준다.





링크를 눌러 모네기 지갑을 컴퓨터에 설치하자. [링크]


exe파일 하나를 다운로드 받게 되는데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추후 해당 파일로 지갑을 실행하면 된다.


최초 지갑을 실행하면 모네기 코인의 모든 노드를 동기화를 위해

하단의 초록바가 사라질때까지 잠시 기다려준다. (약 10분)


이후, 프로그램을 실행할때마다 생성된 노드를 동기화 작업을 거치는데

노드 갱신 중 작업시 위변조 의심을 받게 되면 코인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작업 간 동기화를 기다려주는 습관을 가지자.





동기화 작업이 끝나면 

Setting -> Encrypt Wallet을 눌러 지갑의 비밀번호를 설정해주자.


이후 프로램을 종료 후 재시작을 하고,

지갑을 열기 위해서는 Setting -> Unlock Wallet을 누르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상단의 메뉴 중 Settings -> Option을 

두번째 줄 Show Masternodes Tab을 활성화 시킨다.





상단의 메뉴 중 Tools -> Debug Console를 누르면 창이 하나 생성되는데

빈칸에 getnewaddress `지갑이름`을 누르고 엔터키를 누르면 지갑이 생성된다.

(예시. getnewaddress wallet)


이 지갑은 거래소 지갑과 하드웨어 지갑간의 통로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 주소를 통해 거래소 간의 입출금을 하게되고

마스터 노드 구축을 위해서도 거쳐가는 메인 지갑이다.





상단의 메뉴 중 File -> Receiving address를 눌러 지갑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자.





다시 상단의 메뉴 중 Tools -> Debug Console를 호출해

빈칸에 getnewaddress `지갑이름`을 누르고 엔터키를 누른다.


두번째 생성하는 지갑은 마스터 노드 구축을 하기 위해

1,000개의 코인을 보관하고 VPS에 구축되는 지갑이다.





마찬가지로 상단의 메뉴 중 File -> Receiving address를 눌러 

마스터 노드용 지갑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자.





코인을 모두 구매했다면,

제일 처음에 만든 지갑에 코인을 전송한다.





잠시 기다리면 컨펌을 거쳐 코인이 지갑으로 입금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네기코인 마스터 노드 구축 방법 2편





* 본 포스팅은 직접 확인한 방법으로, 주관적인 입장을 표현 했습니다.






  Comments,     Trackbacks
댓글 쓰기
coinex 가입 방법

   3줄 요약

     

     e-mail 입력 후

     인증작업을 통해

     가입 완료



P2P거래소 중 최근 주목받고 있는 거래소로 coinexchange와는 다른 거래소이다.

회원가입을 위해 좌측의 링크로 이동하자. [링크]





해당 링크로 이동해서

ID로 사용할 e-mail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 후 Sign up을 누른다,


그 후 입력한 e-mail주소로 인증을 마치면 사용할 수 있다.





coinex로 입금하기 위해서는 google OTP인증을 받아야하기 때문에

Account -> Security -> Bind Google Authenticator 를 사용해 OTP를 등록한다.





OTP를 등록 후

WALLTE에서 입금받을 암호화폐 주소를 발급받은 후

타 거래소에서 입금하면 된다.


다른 해외거래소인 바이낸스의 가입방법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바이낸스 가입 방법




* 본 포스팅은 직접 확인한 방법으로, 주관적인 입장을 표현 했습니다.






  Comments,     Trackbacks
댓글 쓰기
바이낸스 입금 방법

   3줄 요약

     

     바이낸스에서 지원하는

     지갑의 주소로

     입금



가상화폐 거래소에서는

거래의 기능도 수행하지만, 다른 거래소로 입/출금이 가능한데

이번에는 타 거래소에서 바이낸스로 입금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기본개념은

코인을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지갑이 필요한데,

모든 거래소가 모든 코인의 지갑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의 경우 대부분 지갑을 지원하지만

금액이 작은 코인의 경우 아직 지갑이 없을 수 있으니 주의하자.


아직 바이낸스를 가입하지 않았다면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바이낸스 가입 방법





바이낸스에 로그인 후,

상단 중간 메뉴 중 펀드 -> 입금/출금을 누르면 입금 가능한 코인 목록이 나오는데

(아직은 이더리움 클래식(ETC)의 수수료가 저렴하기 때문에 예시로 사용했다.)


이후 좌측에 입금을 누르면 ETC입금주소를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을 복사해두자.





타 거래소에서 이더리움 클래식의 지갑을 지원한다면

바이낸스에서 획득한 이더리움 클래식 지갑 주소를 입력하고,

원하는 만큼의 수량을 적어 전송한다.


빠르면 3분 사이에 지갑에 도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포스팅은 직접 확인한 방법으로, 주관적인 입장을 표현 했습니다.






  Comments,     Trackbacks
댓글 쓰기